Yoo, Dowon

About
Text
CV
Email
Instagram

FlatLand I
Multi-binoculars
FairPlay
Dongwon Kim’s gesture
Gesture Map
Double sided PIR MAP
Gestures
x154.2%^6
FlatLand II
Four sided PIR MAP
A bridge
“Dispersion” web version
Straightness is not the right
New Decorations
Gridation
TrraaashhBiinnnn
Robby Müller’s gesture
PIR MAP
Landscape?
Still Life?
Marjorie Rice's screen
An statue
Zoom Race 2o2o
Right to Left from
Making an Island
Escape!
Zoom Choir

Fold




납작들, 권태현

미술은 오랫동안 납작한 것에 세계를 담아내기 위한 기술이었다. 잘 알려져 있는 15세기 유럽에서 본격화된 이른바 선원근법을 중요한 준거점으로 삼을 순 있겠지만, 그 이전에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를 납작하게 만드는 제각기의 기술들이 존재했다. 한참 지나서야 미술이라고 불리게 되는 그런 기술들은 입체적인 세계를 평평한 다른 물질 위에 올려놓기 위해 세계를 아주 특정한 방식으로 파악해야만 했다. 그런 방법론은 그 당시 그곳의 사람들이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여기에서 문제는 보는 방법이 결코 하나로 수렴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물론 세계를 보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하나의 관점이 특정 시기에 헤게모니를 잡게 되는 경우는 많다. 지금 우리에게는 여전히 선원근법과 그것이 해체되어 가는 선형적 역사를 중심으로 한 서양식 모더니즘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근대적 원근법이라는 것도 다양한 분열을 가지고 있었다. 비슷한 시기 유럽만 보아도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원근법 체계와 플랑드르 지방의 재현 체계는 창문으로 세계를 보는 사람과 지도를 보는 사람의 차이만큼이나 큰 것이었다. 하물며 같은 시기 중국이나 한국 같은 동아시아의 관점은 얼마나 달랐을까.
            우리는 지금 15세기에 부상한 근대적 관점을 선원근법이나 일점투시 같은 방식으로 부르지만, 그 당대에는 코멘수라티오(commensuratio)라는 말이 쓰였다. 그것은 ‘측정할 수 있는’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더 엄밀하게 어근을 쫓으면 ‘같은 단위를 공유하는’이란 뜻이다. 이러한 관점은 세계를 체계적으로 측량하여 옮겨 그릴 수 있다는 관념과 연결되는 것이었고, 그 결과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소실점이라는 하나의 점으로 빨려 들어가는 세계이다. 나아가 그것은 단지 시각적 체제에만 머물지 않는다. 유럽식 원근법에서 파생된 세계관을 제국주의와 세계대전까지 연결 짓는 것은 전혀 특이한 관점이 아니다.
            유도원의 작업은 이러한 논의에서 파생되는 문제들을 오늘날 맥락에서 예술적 형식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다중-’ 연작은 다양한 사물들을 격자 위에 올려 다각도로 여러 차례 촬영한 뒤, 그 이미지들을 조각조각 겹쳐 놓는다. 카메라를 손으로 들고 이리저리 움직이며 찍은 이미지 조각을 기우듯 연결했으니 하나의 사물은 여러 관점으로 산란되듯 흩어져 버린다. 하지만 그러한 해체의 과정에서도 사물 이미지의 배경이 되는 격자는 흐트러지지 않는다. 사진을 찍은 위치도 환경도 셔터를 누를 때마다 조금씩 달라지기에 다시(時/視)점에서 여러 왜곡이 발생하지만, 배경에 놓은 그리드만은 억지로 끼워 맞추듯 조정하여 거의 완전한 격자를 갖추고 있다. 그 과정에서 사물 이미지의 왜곡과 해체는 더욱 강화되었을 것이다.
            물론 배경의 그리드 이미지 역시 복수의 사진들을 이어 붙인 것이기에 조각마다 초점의 예리함도 다르고, 노출이나 색온도에 따라 빛깔이 미묘하게 다르기도 하다. 아무리 비슷한 환경에서 같은 손으로 같은 기계를 조작해도 이미지를 포착하는 순간순간마다 복잡한 사물들의 네트워크가 계속해서 다른 연결을 만들어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리드의 격자는 모두 반듯한 네모를 유지한다. 그것은 하나의 기준이 되어 다른 형태들을 모두 찌그러뜨리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실물에서는 1cm였던 격자 한 칸은 동아시아 척관법의 1치, 그러니까 약 3.03cm 정도로 작가에 의해 일관적으로 변형되면서 동서양의 힘관계는 의도적으로 이상하게 비틀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코멘수라티오 같은 말에서 드러나듯 측량 체계는 근대적 전환의 중요한 기점이 된다. 물론 근대 이전부터 표준 도량형을 만들기 위한 시도는 세계 곳곳에서 있었지만, 근대의 국제적 표준은 훨씬 강하고 체계적인 것이었다. 근대적 표준 도량형은 그 자체로 세계 질서의 힘관계가 제국주의적으로 재편되는 모습을 표상한다. 영국 중심의 국제 표준 시간 체계, 프랑스에서 만들어져 체계화된 미터법의 국제적 보급 등을 생각해 보자. 이런 표준 도량형은 실용적 차원에서 당연히 필요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세계를 감각하는 방식에 특정한 하나의 기준을 세운다는 점에 있다. 마치 선원근법과 모더니즘 시각 체계처럼 말이다.
            유도원은 이렇게 일련의 작업을 통해 시각적 체제와 도량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흥미롭게 뒤섞으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를 함께 엮어낸다. 바로 동시대 자본주의에서 발생하는 상품 체제의 표준 문제이다. 자본주의가 끊임없이 고도화되면서 제국주의는 글로벌 자본이라는 형식으로 그 모습을 바꾸고 있다. 근대가 형성되는 시기에 서양의 제국들이 세계에 어떤 표준들을 도입했다면,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자본들이 표준을 도입한다. 쉽게 떠오르는 충전기나 저장 장치의 규격 같은 것부터 시작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온갖 물건들에 천편일률적인 표준화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 유도원의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이케아 같은 경우에는 어떤 표준 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아닐지라도 같은 상품이 너무 광범위하게 소비되면서 현대인의 생활 양식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금이라도 서구화된 곳이라면 세계 어디에서든 이케아의 스툴, 옷걸이, 바구니 등 제품들이 도처에서 발견된다. 이케아뿐 아니라 애플, 테슬라, 유니클로, 스타벅스 모두 마찬가지다. 동시대 글로벌 자본들은 가장 미시적인 생활의 관습마저 전체주의적인 표준으로 재편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국제 표준 시간이 세계적인 로지스틱스 구축, 나아가 제국주의적 착취와 연결되는 것처럼 상품 체제에서의 표준화 역시 비판적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쓰는 모든 상품에 스며들어 있는 표준 체계들, 예컨대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구글 문서, 이 글이 실릴 인쇄물을 디자인할 어도비사의 프로그램 등 독점에 가까운 표준 체계를 수립한 자본들은 그 영향력을 노골적으로 행사할 필요가 없다. 애초에 그것을 기반으로 우리의 경험과 감각이 구조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로 여기에서 유도원은 그런 상품들과 상품들의 체제를 이미지로 변환시켜 납작하게 꾹 누르면서 표준화된 세계에서 살짝 삐져나오는 무언가를 발견해 낸다. 아무리 하나의 체계에 집어넣으려고 해도 결코 납작하게 눌러지지 않는 이상하게 튀어나오는 구석은 어디에나 있다. 모두 똑같은 공산품처럼 보이지만, 모서리를 자세히 보면 마감이 미세하게 다른 것처럼. 제국주의적 표준이나 글로벌 자본이 같은 감각적 체계로 세계를 포착하려고 해도, 그 안에서 제각기 다른 경험을 솟아오르게 하는 힘이 우리에겐 있다. 북유럽에서 디자인된 플라스틱 바구니에 겉절이를 만들어 먹는 것처럼 사소한 것일지라도. 모든 사물은 의도된 지시성에서 벗어날 역능을 품고 있다. 이케아 제품이 등장하는 또 다른 작업인 〈PIR MAP〉 연작은 일반적인 3D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RIP MAP에 담긴 투시법을 반대로 뒤집어내면서 원경과 근경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인간 중심적 관점까지 성찰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입체적으로 돌아볼 계기를 마련한다.
            영상 작업 〈몸짓들〉은 동시대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인 일론 머스크의 우주 산업 프로젝트 스페이스엑스의 로켓들이 이착륙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모두 인터넷에서 수집한 파운드 푸티지들인데,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로 손 떨림 등 화면의 움직임을 안정화해 주는 기능을 역으로 활용하여 작은 푸티지들이 스크린 곳곳에 유령처럼 떠다니게 만들었다. 푸티지 전체가 화면에서 움직이면서 그 이미지들은 로켓의 움직임만큼이나 영상을 찍은 사람의 움직임을 담아내게 된다. 모두 비슷한 재사용 가능한 로켓 프로젝트의 이착륙 장면이지만, 푸티지 자체가 움직이며 이미지를 찍은 신체성이 오히려 부각되고, 거기에서 이미지의 내용이 담고 있는 보편성은 특이하게 뒤집어진다. 카메라를 손에 쥐고 로켓을 따라가는 신체의 운동이나 손 떨림을 말 그대로 ‘무빙’ 이미지로 포착하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유도원의 작업은 상품들의 이미지를 통해 우리의 감각이 담론적으로 구성된 체제에 갇혀 있다는 것을 짚어내면서도 구성주의적 회의에 빠지지 않는 길을 찾아낸다. 표준이라는 문제를 연구하면서 역설적으로 세계를 하나의 감각적 체계에 포섭하려는 시도에서 벗어나는 사례들을 발견했기 때문이 아닐까. 서양 중심의 제국주의적 표준, 글로벌 자본주의 상품 체제는 세계를 끊임 없이 납작하게 누르고 있다. 그러나 억지로 격자에 끼워맞출 때, 세계의 한구석은 비틀어지며 찢어진다. 납작하게 누르는 만큼 이상하게 삐져나오는 것들은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결코 하나로 표준화될 수 없는 복수의 것들이 거기에 있다는 것. 납작은 항상 납작들이라는 것. 보기는 항상 보기들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






Flats, Taehyun Kwon

Art has long been a technique for capturing the world on a flat surface. The well-known so-called ‘linear perspective,’ which became prevalent in Europe in the 15th century, can be taken a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but even before that, there were techniques around the world to represent the world on a flat surface in various ways. Those techniques, which came to be called art only much later, had to grasp the world in a very specific way in order to place the three-dimensional world on a flat material. Such methodologies clearly reveal how the people there at that time viewed the world.
            The problem here is that the ways of seeing can never converge into one. Of course, among the numerous ways to view the world, there are many cases where one perspective gains hegemony at a particular time. One example is the linear perspective and Western Modernism centered on the disintegrating linear history. However, modern perspective also had diverse ramifications. At a similar time in Europ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pective system centered in Italy and the representation system in Flanders was as great as the difference between someone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a window and someone looking at a map. Then, how different would the perspectives of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Korea have been during the same period?
            We now call the modern perspective that emerged in the 15th century by names such as 'linear perspective' or 'one-point perspective', but the term used at that time was ‘commensuratio.’ It means ‘measurable.’ If we go back more precisely to the root, it has the meaning of ‘sharing the same unit.’ This standpoint was connected to the idea that the world could be systematically measured and drawn into a picture, and the result, as we already know, is a world that is sucked into a single point called the vanishing point. This is not limited to just the visual system. Connecting a world view derived from European perspective to imperialism and world wars is not an unusual viewpoint at all.
             Yoo, Dowon's work appears to be a study of the issues derived from this discourse through artistic form in today's context. His ‘Multi-object’ series places various objects on a grid, photographs them several times from multiple angles, and then overlaps the images piece by piece. He held the camera in his hand and moved it around, capturing images and then connecting the pieces of the images together as if patching them together. So, one object is scattered as if dispersed through multiple perspectives. However, even in the process of such dissolution, the grid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the image of the object is intact. As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where the photos were taken change slightly each time the shutter is pressed, various distortions occur in multiple time and multiple viewing angles. However, only the grid in the background has been adjusted as if forcibly fitted to form an almost complete grid. In the process, the distort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image of the object would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Of course, since the grid image in the background is also a combination of multiple photos, the sharpness of focus is different for each piece, and the color may show subtle difference depending on exposure or color temperature.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complex network of objects continues to create different connections every time an image is captured, even if you operate the same machine with the same hands in a similar environment, Despite this, however, the grid all maintains a straight square shape. It becomes a standard and crushes all other forms. In addi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is intentionally and strangely distorted as the artist consistently transforms each square of the grid, which was 1cm in real life, to 1 inch in the East Asian scale (‘Cheokgwanbeop,’ the traditional Korean land measurement system based on Chinese methods), that is, approximately 3.03cm.
             As revealed in terms such as ‘commensuratio’ mentioned above, the measurement system becam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transition to modernity. To be sure, there were attempts to create standard weights and measures around the world before the modern era, but modern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much stronger and more systematic. The modern standard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tself represents the imperialistic reorganization of the power relations of the world order. Examples include the British-centered international standard time system and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the metric system created and systematized in France. This standard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s surely necessary on a practical level, but the problem is that it sets a specific standard for how we perceive the world, just like linear perspective and the modernist visual system.
            In this way, through a series of works, Yoo, Dowon interestingly mixes the problems of visual systems and the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while weaving together another important issue. This is the problem of the standards of the commodity system that arises in contemporary capitalism. As capitalism continues to advance, imperialism is transforming itself into global capital. While Western empires introduced certain standards to the worl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modern age, today global capitalist powers introduce standards. Uniform standardization is increasingly being strengthened for all kinds of items used on a daily basis, starting with the specifications of chargers and storage devices. In the case of IKEA, which is often featured in Yoo, Dowon's work,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even without introducing any standard system, products of the same type are consumed so widely that it is influencing the overall lifestyle of contemporary people. IKEA products such as stools, hangers, and baskets can be found in any place in the world that is even slightly westernized. This is also true for Apple, Tesla, Uniqlo, and Starbucks. Isn't contemporary global capital reshuffling even the most microscopic customs of life to fit into totalitarian standards? 
             Just as international standard time i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global logistics and further imperialist exploitation, standardization in the commodity system also needs to be critically reviewed. Capital forces have established a near-monopoly standard system that permeates all products we use, such as the Google document on which I am writing this article and Adobe's program that will design the printed material in which this article will appear. Now they do not even have to overtly exert their influence because our experiences and senses are structured based on that in the first place. However, it is here that Yoo, Dowon transforms those products and their systems into images, pressing them down to discovering something that slightly protrudes out of the standardized world. No matter how hard you try to fit something into a single system, there is something strangely sticking out in every corner that can never be pressed down. They all look like the same manufactured products, but if you look closely at the edges, the finish is slightly different. Even if imperialistic standards or global capital try to capture the world with a uniform sensory system, we have the power to create different experiences within it. Even if it is something as small as eating lightly seasoned vegetable dishes in a plastic basket designed in Northern Europe, all objects have the potency to escape from the intended referentiality. The 〈PIR MAP〉 series, another work featuring IKEA products, reverses the perspective method contained in RIP MAP used in general 3D software, reflecting on not only the distant and near view but also the universal human-centered perspectiv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se issues three-dimensionally.
             The video work features rockets taking off and landing from SpaceX, the space industry project of Elon Musk, a representative figure of contemporary capitalism. These are all found footag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and the video editing software to stabilize screen movements, such as hand tremors, was used to make small pieces of footage float like ghosts all over the screen. As the entire footage moves on the screen, the images capture the movements of the person taking the video as much as the movements of the rockets. Although they are all similar takeoff and landing scenes from the reusable rocket project, the physicality of the image itself is highlighted as the footage itself moves, and the universality of the content of the image is unusually turned upside down. This is because it is a form of literally capturing the movement of the body or the tremor of the hand as it follows the rocket while holding the camera in the hand as a ‘moving’ image.
             Through images of products, Yoo, Dowon's work points out that our senses are trapped in a discursively constructed system, while finding a way to avoid falling into Constructivist skepticism. Could this be because, while delving into the issue of standards, he paradoxically discovered cases that deviated from the attempt to subsume the world into a single sensory scheme? Westerncentered imperialistic standards and the commodity system of global capitalism are constantly pressing the world down. However, when you force it to fit into the grid, a corner of the world becomes twisted and torn. As much as you press it flat, there will always be things that stick out strangely. That there are multiple things that can never be standardized into one. Flats are always flats. Viewing is always bound to be viewings.